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6 중위소득 기준 혜택 계산기

by 트래블영 2025. 8. 8.

2026년 기준중위소득 인상과 복지급여 기준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이 전년 대비 전반적으로 6~7% 인상되면서 복지제도의 주요 기준도 함께 달라졌습니다.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보장제도에서 적용되는 이 기준은 

많은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꼭 확인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수치를 가구원 수별로 정리하고, 

주요 복지급여 선정 기준과 함께 실제 지원 변화까지 알아보기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복지로 본인 중위소득 계산해보기

 

 

 

2026 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소득을 말합니다. 이는 단순한 통계자료를 넘어 기초생활보장제도,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주요 복지사업에서 수급자 선정기준으로 활용되는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매년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심의·의결해 고시하며, 

저소득층의 생활 수준을 반영하고 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조정되고 있습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 (가구원 수별)


1인 가구: 2,564,238원
2인 가구: 4,199,292원
3인 가구: 5,359,036원
4인 가구: 6,494,738원
5인 가구: 7,556,719원
6인 가구: 8,555,952원

 

 





가구원 수가 많아질수록 소득 기준도 점차 높아지며, 이 수치를 기준으로 다양한 복지급여의 지원 여부가 결정됩니다.

복지급여 선정기준 (중위소득 기준 비율)
각 복지제도는 기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수급 자격을 판단합니다.

생계급여: 중위소득의 32% 이하
의료급여: 중위소득의 40% 이하
주거급여: 중위소득의 48% 이하
교육급여: 중위소득의 50% 이하

비율로 보자면 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실제 지원금 규모와 조건은 제도마다 다르기 때문에 세부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


생계급여 기준 인상 (2026년)
2026년도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지급되며, 다음과 같이 인상되었습니다.

 




1인 가구: 820,556원 (전년 대비 +55,112원 / +7.2%)
4인 가구: 2,078,316원 (전년 대비 +127,029원 / +6.51%)

 

 



다만 실제로 지급받는 금액은 ‘선정기준액 – 소득인정액’ 으로 산정되므로, 각 가구의 소득과 재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의료급여 기준 및 본인부담금 변화
의료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4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입니다. 수급자는 1종과 2종으로 구분됩니다.

1종 수급자
입원: 모든 진료기관에서 본인부담 없음
외래: 1차 1,000원 / 2차 1,500원 / 3차 2,000원 / 약국 500원

2종 수급자
입원: 전체 병원에서 10% 본인부담
외래: 1차 1,000원 / 2·3차 병원 15% / 약국 500원

의료급여는 저소득층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본인부담률이 낮은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주거급여 기준임대료 인상
2026년에는 주거급여 기준임대료도 인상되었습니다.
기존 대비 최대 3.9만 원, 약 11.0% 상승하여 저소득층의 주거 안정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되었습니다.

가구원 수 7인까지는 6인 기준과 동일하게 적용

가구원 수가 8인 이상인 경우, 6인 기준의 10%를 가산하여 산정

전·월세 가격 상승률을 반영한 실질적 기준 조정이 이뤄졌으며, 주거비 부담이 큰 가구에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교육급여 지원금 인상
2026년도 교육급여는 학생들의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인상되었습니다.

초등학생: 50만 2천 원 (전년 대비 +1만 5천 원, 3.0% 인상)
중학생: 69만 9천 원 (전년 대비 +2만 원, 3.0% 인상)
고등학생: 86만 원 (전년 대비 +9만 2천 원, 12.0% 인상)

특히 무상교육 미적용 고등학생에게는 입학금, 수업료, 교과서비까지 실비 지원이 적용되어 실질적인 교육비 경감 효과가 기대됩니다.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평균 6~7% 인상되었으며, 이에 따라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의 선정 기준도 기존 비율(32%, 40%, 48%, 50%)을 유지하면서 각 제도의 최저 보장 수준이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번 조정은 단순한 수치 인상이 아니라 복지제도의 사각지대 해소와 실질적인 생활 안정성 강화를 위한 방향성을 담고 있습니다. 중위소득과 복지급여 선정기준은 나와 내 가족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꼭 한 번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